지난번 달과 관련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광물과 관련한 자료를 보게 되었다. 사실 수석 취미를 하면서 간혹 광물과 관련한 질문이나 수석의 석질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받을 때가 가장 난감하다. 일반 사람들은 수석을 한다면 광물에 대해서도 잘 아는 줄 아는가 보다.
간혹 수석 책이나 수석월간지에 지질학의 전문가인 듯한 분께서 광물의 생성과 종류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가며 설명하여 놓은 것이 있는데 솔직히 재미도 없고 알아야 하겠다고 마음먹고 덤벼들어도 워낙 어렵고 생소해서 잘 이해가 되지도 않는다.
수석 홈 운영자 중에서는 수석교실의 Peton님께서 그나마 광물과 관련하여 다루고 있고 실지로 그와 관련하여 다른 홈 운영자보다는 많이 알고 계시는 것 같다. 필자는 기껏 하여 돌의 종류와 경도 정도 다루고 있다.
여기 소개하는 광물의 성질도 조금 딱딱할 수 있는데 내용이 정말 최소한 이 정도는 우리 수석인들도 꼭 알아 두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되어 여기 옮겨 본다. 뜻밖에 아이들의 참고도서가 아주 잘 되어 있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1. 광물의 물리적 성질
광물은 각각 성분과 그 성분의 비율이 다르므로 물리적인 성질이 다르다. 그러면 각 광물의 물리적 성질은 어떻게 다른지 하나하나 따져 보기로 하자.
1) 경도
모스 경도계
광물의 단단한 정도를 경도라고 하는데, 이것은 기준이 되는 어떤 광물과 비교해서 말한다. 경도의 기준이 되는 광물은 왼쪽 표와 같은 10가지이며, 각 광물의 경도를 1~10으로 정해 놓았다. 이것을 모스의 경도계라 한다.
두 광물의 경도를 비교하려고 할 때는 서로 문질러 보면 된다. 문질렀을 때 흠이 나는 것은 무르고. 흠이 나지 않는 것은 경도가 큰 광물이다. 어느 광물이 장석(경도6)으로는 긁히지 않으나 석영(경도7)에는 긁힐 때는 그 광물의 경도는 6.5 또는 6~7과 같이 나타낸다.
모스 경도계 대신 우리 주변에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손톱의 경도는 2~3, 10원짜리 동전은 3~4, 칼 5, 유리는 5~6, 칼끝은 6~7, 줄은 7~8이다. 따라서 이러한 것으로 긁어 보면 대강의 경도를 알 수 있다.
2) 조흔색
광물의 결정 색깔은 광물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다. 그러나 같은 종류의 광물일 경우에도 간혹 불순물이 섞여서 다른 색깔이 되는 일도 더러 있다. 또 광물에 따라서는 결정의 색과 가루의 색이 틀리는 일도 있다.
그래서 가루의 색을 조흔색이라 하여, 결정의 색과 구별하고 있다. 광물의 조흔색을 조사하려면 광물을 조흔판이라고 하는 자기판에 문질러 가루로 만든 다음, 그 색을 조사해 보면 된다.
3) 광택
광택은 크게 금속광택과 비금속광택, 흙과 같이 광택이 없는 것 등의 셋으로 구분한다. 금속광택에는 진주광택, 유리광택, 지방광택, 견사광택 등이 있다.
2. 광물의 화학적 성질
광물은 일정한 성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을 이루고 있는 성분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
다르다.
1) 산에 대한 성질
광물 중에는 산에 대하여 아무런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도 있으나, 강한 산에 녹아서 분해되는 것도 있다. 특히 탄산과 결합된 금속 성분의 광물은 묽은 염산 등에도 분해되어 이산화탄소의 거품을 내면서 녹는다.
이 성질이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것이 방해석이다.
CaC03(방해석) + 2HCI → CaCl2(염화칼슘) + CO2 + H2O
2) 열에 대한 성질
광물 중에는 세계 가열하면 분해되어 다른 물질로 변하는 것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황(S)과 금속이 결합한 광물은 열에 의하여 쉽게 분해된다.
카테고리 없음
광물의 성질
반응형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