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순수과학과 응용과학 레이저(LASER) 1917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복사에 대한 자극 방출(stimulated emission) 이론을 발표했는데 그 이론은 어떤 원소의 여기된 원자(excited atoms)가 자극을 받으면 빛을 낼 수 있다고 설명한 것이었다. 아인슈타인이 그의 이론을 발표한지 46년이 지나고, 그가 죽은지 8년이 지난 1963년에 최초의 레이저(Laser;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장치가 고안되었다. 레이저는 오늘날 공업, 의료 분야 및 다른 과학 분야에서 아주 중요한 기구가 되었다. 예를 들어, 세인트 헬렌즈 산에서 화산 활동을 예보하기 위해서 레이저는 지각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변의 산 정상들 사이의 거리를 측.. 2022. 7. 20.
친환경·고효율 비철금속 산업육성 필요 강릉 등 영동권을 중심으로 하는 ‘강원권역 비철금속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융합형 클러스터를 통한 친환경·고효율 비철금속 산업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경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권 지역본부 박사는 5일 강릉에서 열린 ‘2013 강원도 지역산업 정책 워크숍’에서 ‘비철금속 소재·부품 특화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미래 클러스커 산업은 소재생산과 부품생산이 융합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박사는 “마그네슘 등 비철금속 소재 생산업체와 부품생산 업체간의 융합형 클러스커가 형성되면 친환경·고효율 비철금속 산업 활성화가 가능해지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쌍끌이 성장을 기반으로 하는 선진 비철금속 산업클러스터가 구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원도는 강릉 포스.. 2022. 7. 20.
자원의 유한성 두 가지 견해 자원의 장래에 관한 전망으로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비관적으로 보는 견해와 또 다른 하나는 낙관적으로 보는 견해이다. 성장의 한계 - 비관론 로마 클럽의 보고서로 1972년 출간된‘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에 의하면, 인류가 현 상태와 같이 자원의 소비를 계속할 경우, 자원은 언젠가는 고갈될 것이며, 따라서 자원의 소비를 어떻게 하든 저지할 필요가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그 근거로서 인류의 인구가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저한 증가율을 따라 여러 자원을 소비하고 있다. 한편, 지구상에는 각종 자원의 새로운 개발이 계속되고 있지만 거기에는 한계가 있어 결국 자원 소비량이 자원량을 능가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그들이 제시한 보고서(1970년 기준)에 의하면 여러 가.. 2022. 7. 20.